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망보험금
- 방광암
- 재해사망보험금
- 의료과실
- 외래성
- 우연성
- 개인보험
- 임상학적암
- 보험분쟁
- 상해사망보험금
- 의료자문
- 후유장해보험금
- 생명보험
- 고지의무위반
- 임상학적 암
- 경계성종양
- 질병분류코드
- 급격성
- 후유장해
- 분쟁
- 장해판정기준
- 보상어드바이저
- 사망진단서
- 상당인과관계
- D09
- 암진단비
- 암보험금
- C67
- 개인보험 후유장해
- 의료사고
【보상어드바이저】
암보험 면책기간에 따른 보험분쟁과 해결책 본문
예) 암보험, CI보험 (단, 15세 미만, 상피내암, 경계성종양, 기타피부암, 갑상선암은 예외), 치매간병보험, 일반보험계약의 부활 등
면책기간의 취지를 무색하게 만드는
보험회사의 불공정 심사
전술한바와 같이 면책기간을 두는 이유는 역선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들면, 보험가입 이전 건강검진을 통해 암 의심소견을 들은 뒤, 보험계약을 하고 다른병원에서 새롭게 진단을 받고 보험금을 청구하여 지급받는다면 이는 이미 가입전 발병 질환을 보상 해주는 꼴이 되어, 결국 선의의 다수 계약자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보험의 단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간혹 이러한 제도를 이용하여 불합리한 심사를 마치 당연한 듯, 안내하는 경우도 있는데, 대표적인 케이스가 바로 암보험과 관련된 것이다. 예를 들어, A는 보험계약 체결 후 86일이 되는 시점 건강검진을 시행하였고, 91일이 되는 시점에 암진단을 받게 되었다. 이를 두고 보험회사는 90일 이내 진단으로 면책을 주장하지만, 이는 타당성이 떨어진다. 암진단의 보험금 청구권 발생시기는 진단을 받은 날로 볼 수 있어, 조직검사결과의 보고일자가 암진단을 받은날이 되기 때문이다.
[보상어드바이저] 블로그 운영자는 현재 법무법인에서 보상전문가로 활동중으로 보험회사와의 대등한 전문성을 가지고 가입자 편에서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면책기간 문제로 보험금이 부지급된 경우, 혹은 계약이 무효된 경우 등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보험 > 기타분쟁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보험금 분쟁에 대해 (0) | 2017.05.29 |
---|---|
개인보험의 소멸시효 분쟁사례와 해결방안 (0) | 2017.03.06 |
병원의료비를 지인할인 받은 경우의 실손의료비 보상 분쟁 (2) | 2017.02.21 |
보험계약의 효력이 없어진 상태에서 장해진단을 받은 경우 (0) | 2017.01.26 |
보험료 납입면제 분쟁 # 양측 난소절제 (0) | 2017.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