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상당인과관계
- 개인보험
- 외래성
- 고지의무위반
- 재해사망보험금
- 질병분류코드
- 임상학적암
- 의료자문
- 사망진단서
- 방광암
- C67
- 보험분쟁
- 의료과실
- 의료사고
- 보상어드바이저
- 상해사망보험금
- 사망보험금
- 후유장해
- D09
- 개인보험 후유장해
- 우연성
- 암진단비
- 암보험금
- 생명보험
- 임상학적 암
- 경계성종양
- 급격성
- 분쟁
- 장해판정기준
- 후유장해보험금
【보상어드바이저】
청신경초종 암진단비 청구 가능 본문
청신경초종은?
신경초종은, 말초신경계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는 신경초란 곳에 종양이 발생한 것으로, 청신경초종이 70-80% 정도를 차지한다. 그외 삼차신경초종, 안면신경초종 등이 있다. 이는 모두 양성종양으로 전이가 되지는 않지만 해당 신경을 압박하게 되면 신경학적인 장해를 유발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적치료를 원칙으로 한다. 다만 종양의 발생 위치가 불량한 경우 방사선치료로 대체될 수도 있다.
청신경초종
암진단비 청구 가능
엄밀히 말하면 청신경초종은 암이 아니기 때문에 암진단비 지급 대상은 아니다. 하지만 뇌라는 부위의 특성 상 인간의 생명을 관장하는 곳이므로, 비교적 착한 양성종양이라 하여도, 발생 위치에 따라 여타 장기의 악성종양보다도 위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임상학적으로는 암으로 인정 될 여지가 있는 것이다. 임상학적 암을 판단하는 기준은 종양의 발생 부위, 주변조직으로의 침습여부, 치료방법, 신경학적인 장해 발생 여부 등 다양한 요건들을 토대로 진단하게 된다.
[보상어드바이저] 블로그 운영자는 현재 법무법인에서 보상전문가로 활동중으로 보험회사와의 대등한 전문성을 가지고 가입자 편에서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청신경초종은 양성종양이라 하여도 임상학적으로 암진단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다만 그 입증방법에 있어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므로, 개인이 입증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고, 또 청구 후에 전문가집단인 보험회사의 심사(의료자문, 법률자문)에 능동적인 대처가 안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보험 > 암진단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시노이드 유암종 암진단비 보상 알아보자 (0) | 2017.07.06 |
---|---|
두개인두종 암진단비 보상 가능성에 대해 (0) | 2017.06.07 |
결장유암종 암진단비 분쟁 이유 (0) | 2017.05.31 |
직장유암종 암진단비 보상 가능성 (0) | 2017.05.24 |
기저세포암 암진단비 보상에 대해 (0) | 2017.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