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의료과실
- 우연성
- 암보험금
- 급격성
- 암진단비
- 사망진단서
- 보험분쟁
- D09
- 경계성종양
- 생명보험
- 후유장해보험금
- 질병분류코드
- 의료자문
- 상당인과관계
- 외래성
- C67
- 상해사망보험금
- 분쟁
- 사망보험금
- 보상어드바이저
- 개인보험
- 고지의무위반
- 의료사고
- 후유장해
- 임상학적 암
- 개인보험 후유장해
- 장해판정기준
- 재해사망보험금
- 임상학적암
- 방광암
【보상어드바이저】
상의세포종 암진단비 보상 가능할까? 본문
상의세포종이란?
주로 소뇌와 제4뇌실에 많이 발생하며, 뇌종양 중 3%를 차지한다. 성인의 경우에는 대뇌를 포함하는 부위인 천막상부에 잘 발생하고, 소아의 경우에는 소뇌를 포함하는 부위인 천막하부에 많이 생긴다. 성인에 비해 소아에게 훨씬 많이 나타나는 종양이다.
양성과 악성이 있는데, 악성의 경우에는 뇌척수액을 통해서 척수강 내로 전이할 확률이 높다. 증세는 뇌종양과 같다. 이 종양은 그 위치와 성장유형 때문에 수술로 완전히 제거하기가 어려워 방사선요법을 함께 시행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상의세포종 [ependymoma, 上衣細胞腫] (두산백과)
양성 상의세포종
암진단비 보상 가능할까?
암진단비 지급기준의 원칙은 조직병리검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이유는, 조직검사를 통해 종양의 성격이 악성인지 혹은 양성인지를 구분할 수 있으며, 침윤정도에 따라 경계성종양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서 신생물의 고유번호라 할 수 있는 형태학적분류코드가 부여되고 그에 따른 표준질병분류코드를 확정지을 수 있다.
악성 [암보험금 전액 지급]
양성 [부지급]
경계성종양 [암보험금의 10-30% 지급]
물론 상의세포종의 경우 MRI를 통해서도 높은수준의 진단이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이를 통해 신생물의 고유번호인 형태학적분류코드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확진이라고 볼 수 없으며, 더군다나 암보험에서 요구하는 검사를 통해 진단 받은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이러한 불합리함을 보완하기 위한 취지로 암보험 약관에는 조직병리검사가 불가능하다면, 차선책으로 임상학적 평가를 통해 암진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임상학적 암을 판단함에 있어 중요하게 보는 요소는, 종양의 발생 위치, 종양의 잔존여부, 신경학적인장해발생여부, 수술의 위험성, 재발가능성등이다.
[보상어드바이저] 블로그 운영자는 현재 법무법인에서 보상전문가로 활동중으로 보험회사와의 대등한 전문성을 가지고 가입자 편에서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상의세포종 외에도 양성 뇌종양 진단을 받으신 경우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보험 > 암진단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시노이드 종양 암으로 볼 수 있을까? (0) | 2017.02.28 |
---|---|
갑상선암 C77 암보험금 보상 가능성 (0) | 2017.02.25 |
양성 교모세포종 암진단비 보상 가능성 여부 (0) | 2017.02.14 |
양성뇌종양 암진단비 보상 가능성을 알아보자 (1) | 2017.02.06 |
혈구탐식성 림프조직구증[D76.1] 암진단비 수령 가능 (0) | 2017.02.03 |